재산세 납부일
재산세 부과기준 조회
재산세 연체 가산세율
위 버튼 누르시면 신청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매년 7월과 9월마다 찾아오는 재산세, 어떻게 준비하면 현명하게 낼 수 있을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정확한 재산세 부과 기준, 납부 일정 조회법, 연체 방지 팁, 그리고 절세 전략까지 한 번에 꼼꼼히 안내해 드립니다.


1. 재산세 부과 기준

  • 과세 기준일은 매년 6월 1일 기준 재산 보유자에게 부과됩니다. (예: 6월 2일 이후 취득 시 해당 연도는 재산세 부과 제외)
  • 과세 대상: 주택, 건축물(주택 제외), 토지, 선박, 항공기 등 다양한 재산이 포함됩니다.

2. 납부 일정과 조회 방법

  • 납부 시기는 크게 두 차례로 나뉘어 있습니다:
    • 7월 16일 ~ 7월 31일: 주택분 재산세 1기분(1/2), 건축물, 선박, 항공기
    • 9월 16일 ~ 9월 30일: 주택분 나머지 1기분, 토지
    단, 연간 세액이 총 20만 원 이하인 경우는 7월에 일괄 납부가 가능합니다.
  • 위택스(wetax), STAX 앱, 또는 해당 지자체의 이택스 등을 통해 쉽게 납부 일정을 조회할 수 있으며, 전자고지와 알림 설정을 활용하면 놓치는 일이 줄어듭니다.

3. 연체 방지 전략

  • 납부 기한까지 납부하지 않으면 즉시 3%의 가산세가 부과됩니다.
  • 장기 체납 시에는 재산 압류 등 강제 조치가 내려질 수 있습니다.
  • 온라인 납부 시스템(위택스, STAX 앱 등)의 자동이체 등록전자고지 설정을 꼭 활용하세요.

4. 절세 전략


감면 및 절세 제도 활용

  • 6월 1일 이전 매매 시점을 조정하여 과세 대상에서 제외되도록 하면 해당 연도의 재산세를 피할 수 있습니다. 예: 6월 2일 이후 매수하거나, 이전은 5월 31일 이전 매도하는 전략.
  • 1세대 1주택자의 경우, 공정시장가액비율 특례(공시가격 구간에 따라 43~45%) 적용으로 과세표준을 낮출 수 있습니다.
  • 주택연금 가입 시 공시가격 5억 원 이하 대상 재산세 25% 감면 가능합니다.
  • 철거 예정 건축물이나 보상 계약이 체결된 경우 비과세로 처리되어 납부 의무가 면제될 수 있습니다.
  • 농지연금 이용 시 농업용 토지 재산세 면제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카드 납부 혜택 활용

  • 자동이체 + 전자고지 설정 시 지방세 감면(예: 500원 ~ 1,600원) 혜택 제공 사례가 있으니, 위택스 설정 내역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 신용카드 이용 시 6, 10, 12개월 부분 무이자할부 혜택이 제공되는 카드사도 있으니, 납부 시점에 맞춰 카드 혜택을 활용하면 이자가 없는 분할 납부도 가능합니다.

5. 요약 테이블

항목내용
과세 기준일매년 6월 1일 기준 보유자
부과 대상주택, 건축물, 토지, 선박, 항공기
납부 일정7/16~31: 주택 1기분·건축물 등
9/16~30: 주택 나머지·토지
세액 20만 원 이하일 시 7월 일괄
연체 페널티즉시 3% 가산세 + 장기 체납 시 압류 가능
절세 전략6월 1일 이전 매매 시점 조정
1주택자·주택연금·철거 예정 감면 제도 활용
납부 혜택전자고지/자동이체 감면
분할무이자 카드 납부 가능

마무리

2025년 재산세, 이제 주요 기준일부터 납부 일정, 연체 방지, 절세 방법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미리 준비하셔서 불필요한 가산세 걱정 없이, 카드 혜택도 챙기며 스마트하게 납부해 보세요. 추가적인 상담이나 절세 전략도 필요하시면 언제든지 알려 드릴게요!